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문화산책] 사라지는 연습이 필요하다

가수 김창완이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나눈 대화의 한 토막.   “노래, 작사 작곡, 연기, 방송 진행에다 글도 써서 책도 여러 권 내시고, 그림도 그리고 하시는데… 더 하고 싶으신 일이 있으신가요?”   진행자의 질문에 김창완은 쑥스러운 듯 잠시 머뭇거리다가 이렇게 답한다.   “사라지는 연습….”   “아, 그런 연습은 하지 말아주세요. 사라지지 말아주세요.”   “아니, 사라지는 연습도 필요한 것 같아요.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음악이 사라지기 때문에 아름답듯 사람도….”   사라지는 연습! 공감이 가는 말이다. 김창완이 23년간 매일 아침 진행하던 라디오 방송에서 갑자기 하차한 지 얼마 안 됐을 때 한 발언이라서 더욱 진하게 울린다. 부당하게 잘렸다는 뒷말이 무성했었다. 마지막 방송 시간에 기타를 부둥켜 안고 눈물을 참지 못하고 어린아이처럼 흐느끼던 그의 모습이 아름다웠다. 많은 이들을 울렸다고 한다.   사라지는 연습, 아름다운 마무리…. 나이 들어서도 하나라도 더 가지려고 몸부림치고, 악착스레 움켜쥐고, 챙기고 모으고 감추고 더 채우려 애쓰는 노욕(老慾)을 부리기보다 자연스럽게 사라지고 흔적 남기지 않고 슬그머니 없어지기… 그러기 위해서 버리고 지우고 잊어버리는 일이 필요하다는 생각… 덧셈은 이제 그만하고 뺄셈을 하자는 생각….   아주 사라지는 것은 결국 죽는 일일 텐데, 누구나 아름다운 마무리를 바랄 것이다. 그래서, 끝이 좋으면 다 좋다는 명언도 있고, 뒷모습이 아름다운 사람을 노래하는 시(詩)도 있다. 물론 말처럼 쉬운 일은 절대 아니겠지만….   어떻게 살고 어떻게 죽는 것이 잘 살고 잘 죽는 것인가란 질문에 간단하게 답할 수는 없다. 생물학적으로는 이러이러한 것이 좋은(?) 죽음이라고 비교적 분명하게 말할 수 있겠지만, 정신적인 면은 다르다.   좋은 죽음, 훌륭한 죽음…. 가장 널리 알려진 결론은, 잘 죽기 위해서는 잘 살아야 한다는 말씀이다. 그러니, 조금이라도 더 좋은 사람, 착한 사람, 멋진 인간이 되려고 애쓸 따름이다. 앞과 뒤가 같고 처음과 끝이 같은 삶, 부끄러움을 아는 삶… 그런 사람들이 제 대접을 받는 세상을 그리워하며 꿈꿀 뿐이다.   정말 좋은 사람, 착한 사람이 잘 죽는가? 솔직히 그건 잘 모르겠다. 세상이 꼭 그렇게 돌아가지는 않는 것 같다. 이것저것 따질 것 없이, 그저 내가 그런 좋은 인간이 못 되기 때문에 그런 사람이 되려고 애를 쓰는 것이다. 잘 죽고 싶어서, 공부를 멈출 수 없고, 신앙에도 기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정말 답답한 것은 공부할수록 지식은 답이 아니라는 생각이 절실해지는 것이다. 많이 알고, 지식을 많이 가진 사람이 꼭 좋은 사람은 아니고, 지식도 결국은 고약한 욕심의 하나라는 생각….   돌고 돌아 다시 원점으로 돌아오게 된다. 사라지는 연습, 잘 죽고 싶으면 잘 살아야 한다는 결론을 다시 새긴다. 많이 아는 것보다 잘 느끼는 것이 한층 더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한다. 글로 이해하기보다 마음으로 느끼고 싶은 것이다. 이제 조금 읽고 많이 보고 많이 듣고 싶다. 내가 생각하기에, 모든 예술은 조금이라도 더 좋은 세상, 아름다운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꿈의 표현이다.   슬기롭게 사라지는 연습을 위해선 우선 버리는 습관을 익혀야 한다. 주위를 돌아보면 버려야 할 것이 너무 많다. 지나친 욕심, 터무니없는 허세, 알량한 자존심, 헛된 기대… 버리고 비우는 일은 내 삶의 부끄러운 얼룩을 지우는 일이기도 하고, 후손들을 위해 내가 더럽힌 것만이라도 내가 깨끗하게 치우고 가야겠다는 소박한 다짐이기도 하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연습 가수 김창완 라디오 방송 연기 방송

2024-05-23

[수필] 부부로 산다는 것

“곁에 있어도 안 보이면 걱정이 들기 시작하고 둘이면서도 하나이고 반쪽이면 미완성이고   혼자면 외로워 병 나고”   마누라? 신혼 때 남에게 얘기할 때는 주로 ‘우리 색시’라고 불렀다. 내가 ‘우리 색시’가 어쩌고 하면 상대방도 대개 ‘너거 색시’가 저쩌고로 대꾸했다. 다음 신혼이 지나면 ‘아내’ 혹은 ‘집사람’이라고 부르고 그 후 40대에는 대충 ‘애들 엄마’ 혹은 ‘와이프’로 호칭된다. 그리고 50대 넘어 60대로 들어서면 그냥 ‘마누라’ ‘여편네’ 혹은 ‘우리 집 할매’로 통한다. 이렇듯 ‘마누라’란 “장년 시절에는 연인이고, 중년에겐 친구이며, 노년에겐 간호사”란 말이 있듯이 우리 삶, 특히 남정네들의 인생에서는 마누라는 거의 필수 불가결한 존재다. 하긴 그 중엔 일부 평생을 혼자 살며 인생을 멋대로 개기거나 상황 따라 여럿 갈아치우는 사람들도 있긴 하지만….   언젠가 라디오 방송의 재치문답 시간에 나왔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사회자가 우선 이렇게 말했다. ‘마누라’란 뜻은 어원(語源)상으로는 ‘마노라(上典, 상전)’라 하여 상당한 높임말이라고 전한다. 그러나 그런 차원이 아닌 실제적으로 우리 피부에 와 닿는 허심탄회하고 가장 합당한 정의(定義)를 말해달라고 했다. 40~50대 패널들은 이 주제를 놓고 중구난방 떠들었다. 별의별 우스개 소리가 나왔지만 그 중 몇 개를 나열해보면 이랬다.   보기만 해도 소름이 끼친다고 ‘귀신’, 돈이건 귀금속이건 보기만 하면 못 먹어 안달한다고 ‘불가사리’ 끄덕하면 손톱을 세워 든다고 ‘암코(암고양이)’ 등등. 주로 부정적인 정의가 많이 나왔는데, 그 중에서도 입가에 빙긋 웃음이 돌게 하는 정의가 하나 있었다. ‘등긁개’였다. ‘마누라는 우리의 등긁개다.’ 그날 그렇게 정의한 그 친구에게 술 마시며 방송을 듣던 우리들은 전적으로 동감을 표시했다.   사실 남정네들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팽팽하던 피부가 슬금슬금 기름기가 빠져가면 건성 피부가 된다고 한다. 특히 날씨가 점차 쌀쌀해져 가는 환절기에 들어서면 대충 온몸이 스물스물 가려워지기 시작하는 것은 아마도 대부분이 경험했을 것이다. 그렇다고 등긁개를 칼처럼 허리에 차고 다닐 수도 없는 일이고 보면 그저 남이 눈치챌라 등허리를 의자 뒷면 모서리에 바짝 밀어붙여 좌우상하로 몸을 뒤틀어본 경험이 없다면 아마 거짓말일 것이다. 특히 건성피부의 사람들은 봄부터 여름 한철까지는 그런 증세가 없다가도 찬바람이 살살 일기 시작하면 이놈의 원수 같은 가려움증은 시도 때도 없이 사람을 괴롭힌다.     한 남자의 이야기다. 그는 술이 억병이 되어 집으로 돌아와 해롱거리다 옷도 못 벗고 그냥 뻗어버린 적이 있었다. 그러나 취중에서 몹시 갈증이 나서 일어났지만, 설상가상 등까지 못 견디게 가려워 잠이 싹 달아나버렸다. 일어나 전용 등긁개를 찾았지만 눈에 보이지 않았다. 하는 수 없이 곤하게 잠든 아내를 두드려 깨우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녀는 온갖 신경질을 다 부렸지만 아아, 그때 아내의 그 손끝 맛이 얼마나 시원하였는지…. 그렇다. 아내란 다시 말하지만 “장년에겐 연인이고, 중년에겐 친구이며, 노년에겐 간호사”다. 이는 남자에게 있어 배우자의 존재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풍자한 이야기일 것이다.     우리는 사람들이 공기의 소중함을 모르듯이, 부부간에도 같이 있을 때는 잘 모르다가 한쪽이 없어지면 그 소중하고 귀함을 절실히 느낀다. 내 주변엔 그런 영감들이 많다.     뒤집어 여성분들에게 ‘남편’은 어떤 존재일까? 그건 내가 여자가 아니라 그 속을 솔직히 잘 모르겠다. 하지만 가까우면서도 멀고, 멀면서도 가까운 사이가 부부다. 곁에 있어도 가끔 보이지 않으면 걱정되는 게 부부다. 둘이면서 하나이고, 반쪽이면 미완성인 것이 부부이며. 혼자이면 외로워 병이 나는 게 부부다. 이건 새삼 느끼는 것이 아니라 마치 공자 말씀처럼 잘 알면서도 우리가 모르고 있는 얘기다. 늙어가면서 부부가 서로 아끼고 챙겨주는 것은 남이 두드러기 날 일만은 아니다. 불출이라 하더라도 다들 그렇게 하시는 게 여생이 편하다.     손용상 / 소설가수필 부부 마누라 신혼 라디오 방송 돈이건 귀금속이건

2022-02-0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